본문 바로가기

개발 일기3

DAO와 DTO의 차이 몇년간 개발했으나 바보같이 이 두개의 차이를 모른다. 정확히 알고 써야 하므로 정의부터 얘기해보겠다. (1) DAO Data Access Object(데이터 접근 객체)의 약자이다.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가 있을때 이를 접근하기 위해 생성하는 객체이다. - DB 데이터 조회 및 조작 전담하는 객체(오브젝트) (2) DTO Data Transfer Object (데이터 교환)을 위한 객체이다. - 누군가(고객,웹,클라이언트)와 데이터를 송수신할때 담는 객체 2023. 8. 24.
[GIT] submodule 추가, 삭제 방법 이미 구현된 프로젝트 (부모, 자식 구조) 에서 submodule을 추가, 삭제하는 것이 의외로 쉽지 않았다. 특히 자식을 먼저 git에 올린 후 부모에 submodule로 연결하고 부모를 commit 하는 케이스이다. 먼저 git 리포지터리의 부모쪽 .gitmodules만 수정하는 것으로는 제대로 된 부모, 자식 연결이 안된다. 명령어를 아래와 같이 실행해야 한다. git submodule add [자식git주소] [path명] 위 명령을 실행하면 부모쪽 폴더에 있는 .gitmodules 가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. 이게 잘 안되거나 혹은 중간에 꼬여서 잘 안될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안내해본다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'[모듈 폴더경로]' already exists in the index 1. .. 2022. 3. 2.
Flutter 맛보기 공부중 일단 설치. 기본 레이아웃 공부함. Statefull, Stateless Widget까지. (그런데 아직 제대로 이해못했지만 RN을 공부하는게 나는 더 재밌었을 것 같기도...) 튜토리얼 따라서 여기까지 공부함.... https://flutter.dev/docs/development/ui/layout/tutorial Building layouts Learn how to build a layout. flutter.dev 시간나면 좀더 진행해보기로 2020. 1. 9.